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
페이지 정보
작성자 윤민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(1.♡.3.54) | 작성일 20-04-07 16:20 | 조회 453회 | 댓글 0건관련링크
본문
<p id="pi__32489479_3483273" class="pi__32489479_3483273"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6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b14b7270b10bba44998a813c9fb6c3eb.jpg" alt="tumblr_pt90t4Nkjs1qk12q0o1_1280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096569" title=""><br id="pi__32489479_3483273" class="pi__32489479_3483273"><br></p><p>지난 번 연준의 대차대조표 이야기에 이어서, </p><p><br></p><p>이번엔 08년 금융위기 당시의 연준의 양적완화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</p><p><br></p><p>이야기를 다 읽고 나면 현재의 글로벌 경제 상황이 </p><p><br></p><p>연준의 양적완화'만'으로 해결되기 힘들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될 것입니다.</p><p><br></p><p><br></p><p>최대한 이야기를 쉽게 풀어가기 위해 노력해보았습니다</p><p><br></p><p>그럼 시작하겠습니다</p><p><br></p><blockquote class="q1"><h1 class="np_18px" style="margin:0px;padding:0px 8px;font-size:17px;line-height:18px;color:rgb(68,68,68);font-family:'돋움', Dotum, Arial, '나눔고딕', 'Malgun Gothic', '맑은고딕', '굴림', sans-serif;"><span class="np_18px_span">연준의 대차대조표 (양적완화 전 단계 이야기)</span></h1><div><span class="np_18px_span"><a href="2822722620">https://www.fmkorea.com/2822722620</a><br></span></div></blockquote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여기 흔한 펨붕 주갤러가 있다고 합시다. </p><p><br></p><p>펨붕이는 이번에 S&P 인버스 하다가 남은 돈(100달러라고 합시다)을 "펨코은행"에 저축하려고 합니다</p><p><br></p><p>자, 은행에 갔더니 2%를 주는 예금 상품이 있어서 펨붕이는 100달러를 은행에 저축했죠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여기서 은행은 펨붕에게 줄 2% + 알파를 벌기 위해 투자를 합니다</p><p><br></p><p>예를 들어서 돈이 필요한 기업에게 기업 어음, 혹은 회사채를 발행해주는 거죠...</p><p><br></p><p>문제는 은행도 먹고 살아야 하니 회사채에 적용되는 이자율은 2%를 당연히 넘겨야겠죠</p><p><br></p><p>은행이 받은 100달러로 산 회사채의 이자율이 5%라고 해봅시다</p><p><br></p><p>그럼 은행은 중간에서 5%-2%=3% 의 이자를 77ㅓ억 하겠죠</p><p><br></p><p>이걸 우리가 흔히 하는 말로 "예대마진"이라고 합니다. 예금과 대출의 이자율 차이에서 오는 은행의 주수입</p><p><br></p><p>이런 상황이 되면 이 은행의 대차대조표는 다음 그림과 같아집니다</p><p><br></p><p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e09e5d72709663362f741bdb956e42b9.png" alt="그림1.pn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36407" title=""><br><br>저번에 설명 드린것처럼 왼쪽과 오른쪽에 있는 각 계정은 금액이 똑같아야 합니다 (회사채 100달러, 예금 100달러)</p><p><br></p><p>그리고 이 균형 속에서 은행은 100*3%=3달러를 먹는 거고요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여기까지 오셨다면 어려운 거 반은 이해하신 겁니다. 축하드립니다 (짝짝짝)</p><p><br></p><p>금융위기전 07년도까지의 상황은 위와 다를 게 별로 없습니다</p><p><br></p><p><span style="font-size:18px;"><b>다만!! </b></span>자산 쪽에 회사채말고 <u><b>주택저당증권(MBS)</b></u>가 많이 쌓여있다는 점 말고요</p><p><br></p><p>실제 은행들은 고객들의 예금을 받으면 위험 분산을 위해 다양한 자산에 투자를 합니다</p><p><br></p><p>그리고 안전함을 기준으로 순서를 뽑자면 지급준비금, 미국채, MBS, 회사채 등등...... 이렇게 됩니다</p><p><br></p><p>그러니까 실제로 대차대조표는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죠</p><p><br></p><p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59b3a4dd29652e48c9a96883f13b12bb.png" alt="그림2.pn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49554" title=""></p><p>지급준비금이란??</p><p>혹시나 있을 유동성 부족 사태에 대비하기위해</p><p>시중은행이 고객의 예금을 보장하기위한 최소한의 장치로서,</p><p>중앙은행의 지급준비금 계정에 예금의 일정비율을 최소한으로 설정해놓는다</p><p>이 돈은 은행이 마음대로 쓰거나 투자할 수 없고 중앙은행에 넣어놔야한다</p><p><br></p><p>MBS(주택저당증권)<br>주택담보대출을 한데 모아 증권화 시킨 투자 상품으로서,</p><p>위험이 분산되고 수익률이 좋아 인기가 좋다</p><p><br></p><p><br>역시 이런 상황에서도</p><p><br></p><p><u>지급준비금+미국채+MBS+회사<span style="font-family:Dotum;">채 = 예금</span></u></p><p><br></p><p><span style="font-family:Dotum;">이 등식을 항상 지켜야 합니다</span></p><p><br></p><p><span style="font-family:Dotum;">문제는 금융위기 전까지 </span><u><span style="font-family:Dotum;">MBS인기가 좋은 상황이라 그쪽으로 많은 비중이 쏠려있었다는 거죠.</span></u></p><p><br></p><p><span style="font-family:Dotum;">여기서 빅쇼트의 한장면 보고 오겠습니다</span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2005년 캘리포니아의 한 헷지펀드 사무소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사이언 캐피털의 펀드매니저 마이클 버리는 주택저당증권(MBS)에 들어가 있는 주택담보대출 내역들을 보면서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주택시장에 끼어있는 거품을 발겨하게 됩니다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bfa5b8e9cfcf93c75ec9b6539af85a80.jpg" alt="01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29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9efccc8e5589ff6fbd3fe3618a1f70f1.jpg" alt="02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39" title=""><br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LTV (Loan-To-Value-ratio)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주택담보대출비율,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해줄 때 담보물의 가격에 대비하여 인정해주는 금액의 비율.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예를 들어 대출자가 시가 2억원 주택을 담보로 최대 1억원까지 대출할 수 있다면 LTV는 50%이다 (출처: 위키피디아)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그런데 MBS를 이루고 있는 상당부분의 주택담보 대출의 LTV비율이 90% 이상, 심지어 어떤 대출은 110%라는, 상식적으로는 말도 안되는 레버리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.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b4ad721145a827f0a4f2f5f9be5458e8.jpg" alt="04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46" title=""><br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변동금리대출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채무자가 은행에 지급해야하는 대출이자가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할 수 있는 대출. 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시장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채무자는 더 많은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부담을 떠안게 됩니다.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이러한 주택시장 위기를 감지하고, 미국 주택시장의 하락에 베팅하고 싶어하는 마이클 버리. 그리고 이를 반대하는 최대 투자자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067f37c34ee2b17e17487f16bbbe5ed9.jpg" alt="05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52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bf70efb03fc73fa1b0f3f1444187ae9f.jpg" alt="06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56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5f0be214bddb86582a2c9495e1632780.jpg" alt="07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77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d9ecc4a1c289ead63dcb629ce9a3d11b.jpg" alt="08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793" title="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서브프라임 대출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주택 담보 대출 심사에서 통과하지 못하거나,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들을 위한 대출 (출처: 위키피디아)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즉, 신용도가 낮은 사람에게 제공한 대출이다 보니, 채무자가 부담해야하는 이자 또한 많고, 연체 및 채무불이행 위험도 높은 대출입니다.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1711f1a1ead4273cb040a5f62469b5d1.jpg" alt="09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808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46f6f38dbf3385ae787363dc8e48bc3e.jpg" alt="10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65826" title=""><br><br>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여기서 마이클 버리는 위험한 변동금리대출상품으로 이뤄진 MBS는 언젠가는 반드시 터질 폭탄과 같다며 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MBS 가격 하락에 대한 베팅을 하고자 합니다. 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하지만 주변에서는 주택 시장은 언제나 안정적이었으며 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전 연준의장 앨런 그린스펀을 비롯한 전문가들이 위험이 크지 않다고 했으니 </p><p style="font-family:Gulim, Arial;background-color:rgb(255,255,255);">바보 같은 투자라고 반대하였죠.</p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그리고 마이클 버리가 예상하던 상황이 07~08년도에 벌어지면서 금융위기가 시작되었죠</div><div><br></div><div>이 때 펨코은행의 상황을 다시 봅시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877decaf8f504451ca6600428e1b1c8b.png" alt="그림3.pn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197240" title=""><br><br><br><br>펨코은행은 수익성이 좋은 MBS에 상당히 많은 부분을 투자한 상황이고, </div><div><br></div><div>MBS의 convexity hedge(이건 어려운 개념이니 다음에 기회가 되면 설명)를 위해 미국채도 대량 사놓은 상황</div><div><br></div><div>하지만, 앞서 말한 MBS의 부실 문제로 인해 </div><div><br></div><div>자칫 <u><b><span style="font-size:16px;">MBS에 투자한 40달러가 통째로 날라갈 위기</span></b></u>에 놓인 것이 금융위기의 원인입니다(+미국채 가격 떡락).<br><br></div><div>만약 이렇게 된다면...</div><div><br></div><div>은행에 100달러를 예금은 펨붕이는, 나중에 만기가 되어서 원금으로 60달러도 못 받게 되는 상황이 생기는거죠</div><div><br></div><div>즉, 은행에게 상환 능력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겁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일반 예금자인 펨붕이는 이 문제가 커지기 전에 당연히 예금을 인출하려고 펨코은행에 메다닥 뛰어가겠죠</div><div><br></div><div>이게 바로 그 유명한 "뱅크런"입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완전 은행이 금융기관으로서 기능을 잃게 되는 셈이죠</div><div><br></div><div>이렇게 되면, 기업들의 Refinancing할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고,</div><div><br></div><div> 발행한 회사채와 기업 어음의 가치 또한 크게 위협받으면서 더욱 큰 문제로 다가오게 됩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e7e0b71b9f8f04caf8ff58bda40c27e6.jpg" alt="The Big Short (2015) [1080p] BluRay x264.mkv_20200317_011446.975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32285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c3db2afc16bab0491d79ba3dc66809c1.jpg" alt="The Big Short (2015) [1080p] BluRay x264.mkv_20200317_011526.055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32289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e81ca24bc0fb9168dd6bc05f149b2402.jpg" alt="The Big Short (2015) [1080p] BluRay x264.mkv_20200317_011553.407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32303" title=""><br><br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844d452b290b05d5dede8c285928b116.jpg" alt="The Big Short (2015) [1080p] BluRay x264.mkv_20200317_011558.774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32309" title=""><br><br><br></div><div>이런 상황에서 진행된 게 바로 연준의 "양적완화"(Quantitative Easing) 입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원리는 간단합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펨코은행의 자산 건전성을 위협하는 MBS를 살리고 미국채 가격을 다시 되돌려놓는것...</div><div><br></div><div>이를 통해 <u><b><span style="font-size:14px;">은행의 자산 건전성을 되살리는 것</span></b></u></div><div><br></div><div>이 과정에서 연준과 펨코은행의 "대차대조표"에 변화가 생깁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cc1b27f2b8d9d42c122c73bb69aebdc1.png" alt="그림5.pn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51019" title=""><br><br><br><br>즉, 연준이 MBS와 미국채를 사들이면서, </div><div><br></div><div>펨코은행은 떡락한 MBS와 미국채 대신 </div><div><br></div><div><u><b><span style="font-size:14px;">매우 "안전한" 지급준비금을 </span></b></u><u><b><span style="font-size:14px;">필요보다 더 많이 </span></b></u><u><b><span style="font-size:14px;">쌓게 되고 이것이 바로 "초과지준금" (초과 지급 준비금)이 됩니다</span></b></u></div><div><br></div><div>그리고 펨코은행의 자산의 가치는 다시 100달러 수준으로 회복하게 되는 것이죠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img src="//image.fmkorea.com/classes/lazy/img/transparent.gif" data-original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99b983892094b5c6d2fc3736e15da7d1.jpg" alt="QE_fig1 (2).jpg (연재,분석) 현재의 양적완화가 해결책이 되기 힘든이유 (feat. 빅쇼트)" data-file-srl="2834248017" title=""></div><div><br></div><div>지난 번 글에서 보았던<br><br><u>Reserves</u>가 바로 연준의 양적완화 작업을 통해 늘어난 "초과지준금"이었던 것이죠<br><br></div><div>이러한 성격의 양적완화 정책은 결국 회사채 및 기업어음 시장의 연쇄 붕괴를 막기 위한 은행 자산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이었고,</div><div><br></div><div>결과적으로 네 번에 걸친 양적완화를 통해 금융위기의 여파가 매듭 짖게 되죠</div><div><br></div><div>때문에 지금까지의 내용을 잘 생각해본다면,</div><div><br></div><div>이번 증시 조정의 가장 큰 원인이 </div><div>1)원유 감산 합의 실패로 인한 수요 충격 및 미국 셰일 기업 신용도 악화</div><div>2)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수요 충격 </div><div><br></div><div>인 상황에서</div><div><br></div><div>기존에 사용하던 양적완화 정책(MBS와 미국채를 사는)이 이번에도 통하기는 힘들다고 볼 수 있습니다.</div><div><br></div><div>하지만 회사채를 비롯한 하이일드 구조화 상품쪽에서 지난 금융위기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면 그 땐 양적완화가 필요할 수도 있겠죠...</div><div><br></div><div>그런 날이 오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요약</div><div><br></div><div>1) 금융위기 때 사용하던 완화정책은 은행의 자산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정책이다</div><div><br></div><div>2) 그러나 지금 조정의 원인은 금융기관의 상환 능력이 아닌 실물경기+기업의 신용도, 유동성 악화에 좀더 초점이 맞춰져 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3) 따라서 기존의 양적완화정책보다는 적극적인 재정정책 및 글로벌 중앙은행의 공조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</div><div><br></div><div>혹시 시간되시면 지난 번 글도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<a href="2822722620">https://www.fmkorea.com/2822722620</a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추천은 언제나 힘이 됩니다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div><div style="UO5pLG:360px;"><video class="avideo-js" muted="" loop="" playsinline="" autoplay="" width="480" poster="//image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1da257fdb8a91e1827c0a7420f29044a.gif.thumb.jpg" id="avideojs1" adata-setup='{"fluid": true}'><source src="//media.fmkorea.com/files/attach/new/20200317/192159903/2821407054/2834096564/1da257fdb8a91e1827c0a7420f29044a.gif.mp4?d" type="video/mp4">Video 태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.</video></div></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br></div><div></div> <div style="float: left; height: 1px overflow: hidden;"><br><br><div style="width:100%;height:40px;opacity:0;filter:alpha(opacity=0);-moz-opacity:0;-khtml-opacity:0;"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리치">fx리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마진거래">fx마진거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리치">FX리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마진거래">FX마진거래</a><br>
</div></div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리치">fx리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마진거래">fx마진거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리치">FX리치</a><br>
<a href="https://fxrich.cafe24.com/" target="_blank" title="FX마진거래">FX마진거래</a><br>
</div></div>
0 0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.jpg)
.jpg)
